원활한 서식활동위한 야생동물습격, 감전, 돌연사 예방돼야

[예산=내외뉴스통신] 조영민 기자 = 예산군이 역점적으로 추진중인 황새 복원 및 텃새화 사업의 지속적인 결실을 위해서는 황새의 효율적인 서식활동을 위한 안전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그 핵심은 다름아닌 야생동물습격과 감전 및 돌연사 방지가 바로 그것이다.

예산군은 예산황새공원 내 서식 중인 황새 3쌍이 산란·포란해 새끼 황새 12마리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지난달 21일에도 광시면 시목리 둥지탑에서 새끼 황새 5마리가 ,지난 1일 예산황새공원 내 8번 번식장에서 4마리가, 3일 7번 번식장에서 3마리가 각각 부화했다.

특히 시목리 둥지탑 황새는 지난 2016년 7월 18일 야생 방사한 황새(수컷 생황, 암컷 국황)로 스스로 짝을 이뤄 2년째 성공적으로 번식 했다는 점에서 황새 텃새화에 청신호가 되고 있다.이는 예산군을 중심으로 중앙부처, 연구기관, 농민·민간단체, 기업 등의 유기적 협력체제 결과이다.

문제는 그동안 논란을 빚은 향후 돌연사방지를 위한 다각적인 보호대책이 허술하다는 점이다.

이 시점에서 2년전 충남 예산 황새공원에서 키우던 천연기념물 199호 황새 2마리가 야생동물의 습격으로 죽은 점을 지적하지 않을수 없다.

이는 암컷 황새가 감전사한지 2달여만의 일이다.

당시 황새공원 측은 멸종위기 2급인 '삵'의 소행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같은달 20일 오전에도 황새 한 마리가 야생동물의 습격을 받아 폐사한 채 발견됐다.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황새의 안전한 서식활동을 위해 분명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일것이다.

보다 확고한 대책이 없는한 제3 또는 제4의 또다른 수난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3년전 일본 가고시마현 공항에서 기류에 휘말려 죽은 황새를 포함해 감전사와 습격사까지 모두 5마리를 잃은 사실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이들을 보호하기위한 비상대책이 마련돼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천연기념물인 황새복원 방사의 의미는 단순히 황새를 복원했다는 것에 만족해서는 안된다.

국내 토종황새는 이미 오래전 멸종된 상태이다.

그 대안으로 러시아산 황새를 들여와 복원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이것또한 국내의 척박한 환경속에서 잇달은 수난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언제 또다시 수난이 이어질지 속단키 어렵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한국교원대와 예산군이 공동으로 시작한 황새복원사업이 제대로 결실을 맺기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안전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하늘에 그물처럼 퍼져있는 전깃줄의 지중화 사업도 주요 과제의 하나이다.

단기적으로는 전깃줄에 노란색 안전커버라도 씌워 황새를 보호해야 한다는 여론도 곰곰이 따져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군당국은 그 대안으로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한 크고작은 안전사고 예방이 선결과제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dtn@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492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