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터의 동남간방이 과도하게 광고(廣高)하면 '승려·신부·성직자·수녀'등 배출해

[노병한의 풍수힐링]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집터=지상(地相)을 정전지법(井田之法)으로 구분하여 나누면 9개의 구역 중에서 중앙을 제외하고 8개의 방위에 따른 8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이런 8개의 구역에 방위별로 8괘(卦)를 배속시켜 <집터=지상(地相)>과 <건물=가상(家相)>의 형상에 따른 길흉화복이 서로 다르게 일어남함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는 <동남간방=손방(☴巽方)>방의 <집터=지상(地相)>과 <건물=가상(家相)>의 형상이 어떤가에 따라 그 집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길흉화복이 일어나는지를 따져보려고 한다. 즉 집터의 8개의 방위별로 8괘(卦)를 배속시켜 집터=지상(地相)의 넓고 좁듯 장결(張缺)한 형상과 길흉화복의 상관관계를 들여다보자는 이야기다.

집터나 대지에서 <동남간방=손방(☴巽方)> 공간의 지형이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한 택지 내에서 <동남간방=손방(☴巽方)>의 공간에 있는 터(地)나 집(家)=건물=점포 등을 타인에게 사용토록 빌려주어 임대(賃貸)할 경우에는 <지주(地主)·가주(家主)·차가인(借家人)>에 해당하는 모두가 큰 빈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집터 중에서 <동남간방=손방(☴巽方)>은 만물이 공손히 화(和)할 복지(福地)에 해당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만물이 공손히 화(和)할 복지(福地)에 해당하는 공간인 <동남간방=손방(☴巽方)>을 남에게 빌려주어 결(缺)함을 상징하고 부족(缺)함이 되면 그러한 중요한 공간의 방위를 서로 나누어 분할하는 것이 되므로 집의 주인=지주가 곤궁해진다는 논리인 것이다.

예컨대 집터의 공간 중에서 <동남간방=손방(☴巽方)>의 공간이 부족하게 되면 해(日)가 가득 차있는 천상의 양기를 충분히 받지 못하게 됨이다. 게다가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동남간방=손방(☴巽方)>은 유순(柔順)함의 방위인데 그것을 잃음으로써 천리(天理)를 어기게 되어 그 공간을 빌려주는 쪽이나 빌려서 사용하는 쪽의 쌍방이 인권유린을 당하거나 모두 다 크게 빈곤이 직면하게 된다는 논리다.

그런데 집터의 <동남간방=손방(☴巽方)>에 해당하는 공간과 지형이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한 택지를 가진 경우의 종교부지(寺院)는 <타소·타국>에 지점격인 사찰⋅포교원 등을 겸비한다고 하드래도 승도(僧道)나 종도(宗道)에 어긋나는 금전을 취급함으로 인해서 손실을 많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집터 중에서 <동남간방=손방(☴巽方)>의 공간과 지형이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한 택지는 <강욕비도(剛欲非道)·소송(訴訟)·색욕(色慾)·세상의 풍성(風聲)이 좋지 않음·공난(公難)> 등을 주관하게 된다는 점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그러함의 이치는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동남간방=손방(☴巽方)>을 머리털이 적고 작다고 하여 <승려(僧侶)·성직자·가지런함(潔齊=결제)·복지(福地)>라고 했음이다.

그런데 집터 중에서 그러한 <동남간방=손방(☴巽方)> 방위가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하기 때문에 승도에서 있어서는 안 되는 금전을 취급함으로써 결국에는 탐욕에 미혹되어 손실이나 소송을 초래하게 된다는 점일 것이다.

또한 설괘전(說卦傳)에 <동남간방=손방(☴巽方)>을 장녀라고 했고 공손히 화(和)할 곳이라 했다. 그런데 이런 방위가 불상응하게 지나치게 크기(大張)때문에 공손히 화(和)할 곳인 제소(齊所)함을 잃고 색정에 혼미해 빠지며 세상의 풍평(風評)인 세평(世評)이 나빠져서 손실이 많이 발생된다고 함인 것이다.

그리고 구성(九星)은 별(星)의 이동으로 <동남간방=손방(☴巽方)>에서 중앙으로 들어가 서북간방(☰乾)으로 나오는 것이므로 <동남간방=손방(☴巽方)>의 집터가 지나치게 큼(大張)은 서북간방(☰乾)의 방위를 얻음이라 할 것이다. 선천의 서북간방(先天☰乾位)은 즉 후천의 정남방(後天☲離位)이고 정남방(☲離)은 법정인데 그 결재(潔齋)함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공난(公難)을 초래한다고 함인 것이다.

<동남간방=손방(☴巽方)>의 지형이나 건물이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한 집은 승니(僧尼)가 나오지만 그 승니는 계(戒)를 지키기 어려워 반드시 파계(破戒)하여 중도에 탈락한다고 알면 될 것이다.

그러함의 이치는 <동남간방=손방(☴巽方)>은 머리칼이 작고 적음이므로 이것이 승니(僧尼)의 상(象)이라 할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집에서는 <승니·신부·성직자·수녀>등을 내거나 혹은 그 속연(俗緣)이 되어서 <동남간방=손방(☴巽方)>이 큼(張)으로 장녀의 방위를 범하게 된다고 할 것이다.

<동남간방=손방(☴巽方)>의 실제 속=이면(裏)은 정동방(☳震)이 되므로 장남부터 범하고 또한 승니도 계를 지키기 어렵게 됨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집은 장녀가 가계를 계승하는 일이 있게 된다.

그러함의 이치는 <동남간방=손방(☴巽方)>의 집터가 클(大張) 경우에는 서북간방(☰乾)의 방위를 얻음이기 때문이다. 서북간방(☰乾)은 아버지이므로 즉 장녀가 아버지를 계승하여 잇는 것이다. 따라서 장녀가 여자의 몸으로 아버지를 대신해서 가계를 상속하는 상(象)이 있음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집은 간혹 장남이 사망해서 차남이 가계를 계승하는 일이 있게 된다. 그럴 경우에는 장녀가 강(河)과 바다(海)를 건너 멀리 떨어진 타가에 시집가거나 혹은 우리 집에 시집온 며느리의 실가(實家=친정)로 시집을 가게 된다는 점이다.

그러함의 이치는 <동남간방=손방(☴巽方)>이 과도하게 크듯 대장(大張)할 경우에는 장녀의 방위가 가득(滿)하기 때문에 장남이 생육되지를 못하고 <동남간방=손방(☴巽方)>의 기(氣)가 정동방(☳震)에 통해서 2남이 가계를 잇고 계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녀도 왕기를 얻어 먼 곳에 시집가든지 혹은 내 집에 시집온 며느리의 실가(實家)로 시집을 가든지 하는 그 왕기에 순해서 가계를 잇게 되는 계산의 이론이 됨인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노병한 풍수·사주칼럼리스트

 자연사상칼럼니스트 

 한국미래예측연구소장

                                   노병한박사철학원장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7697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