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뉴스통신 칼럼] 지금 대한민국은 부의 편중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간, 수도권은 경기도와 인천 그리고 서울, 여기에 서울은 강남과 강북으로 나누고 강북은 한강 인접지역과 외곽으로 나누어 양극화가 심화되는 느낌은 대다수 국민이라면 공감할 것이다. 

여기에 같은 위치에 공존하는 아파트 중 기존 아파트와 신축 아파트간의 격차는 실로 엄청난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양극화에 대하여 학계 및 언론 그리고 사회단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없다는 것에 더욱 놀라울 따름이다. 아니 초양극화가 된다는 사실조차도 모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면 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격하게 변화됨으로 느낄 수도 없는 시간적 변화에 무반응으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우선 이러한 초양극화에 대한 객관적 사례를 들기에 앞서 부동산 측면에서 볼 때 대다수의 국민의 관심사는 주택일 것이다. 특히 주택 중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거형태는 아파트일 것이다. 

현재 내가살고 있는 주택이 부의 척도라고 본다면, 임대인 시각에서는 그 가치가 극대화되길 바랄 것이고 또는 임차인 시각에서는 가치가 적정하길 원할 것이다. 가격은 정부 또는 업자가  정하는 것이 아니며, 시장논리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볼 때 도심 중심에 있는 아파트를 더 선호하는 현상과 도심에 가까울수록 가격이 비싸다는 것은 상식일 것이다. 

여기서 도시는 크게 행정기관별 중심지로 나누면, 서울과 6대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범주 속에 각 행정기관별 아파트 가격시세(84㎡(34평형))를 참조한다면 지역별 편차를 알 수 있다.  

자료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http://rt.molit.go.kr/)에 공개된 2018년 4월 1일 ~ 4월 30일까지 전용면적 84㎡(34평형)로 거래된 신규 APT 분양권 가격을 중심으로 지역별 편차를 조사 해 보면 아래와 같다. 

부산광역시로 보면 전체 16구(區) 중 15구(區)에서 실거래가격이 조사되었다. 여기서 거래가 없는 중구(區)는 조사에서 빠져 측정할 수 없었다. 

거래가 이루어진 113개 사례를 중심으로 평균 가격이 높은 순서는 해운대구 5.3억, 서구 4.6억, 남구 4.5억, 연제구 4.5억, 수영구 4.5억, 동래구 4.4억, 부산진구 4.4억, 금정구 4.2억, 영도구 4.2억, 동구 3.9억, 강서구 3.6억, 사상구 3.2억, 기장군 3억, 북구 2.8억, 사하구 2.8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비교해 보면, 가장 낮은 서울 관악구와 가장 높은 부산 해운대구 평균 가격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울 강남구 13.9억 원과 부산 해운대구 5.2억 원에서 보듯 서울이 부산 해운대구보다 2.5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 강남구 1주택은 부산광역시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볼 때 2.5주택을 구입 가능하고, 서울 관악구와는 부산 해운대구와 비교해보면 1대1 매입이 가능하다.

인천시와 비교해 보면, 가장 높은 연수구 평균 가격이 4.5억 원, 부산 수영구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부산 해운대구 주택구입시 인천시 연수구 거주자는 약 7천만 원이 더 소요되고, 부산 사하구 거주자가 인천시에서 가장 낮은 중구 평균 가격 2.8억 원 주택구입시 5천만 원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도와 비교해 보면, 가장 높은 성남시 평균 가격이 7.7억 원, 부산 해운대구 5.2억 원을 감안해보면 경기도 성남과 부산 해운대구 주택 가격이 1.47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 부천시와 부산에서 가장 높은 해운대구 주택 분양권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와 같이 경기도 시별 가격과 부산광역시 구(區)별 가격에 대한 편차는 매우 큰 것으로 보이나, 부산시 경우 경기도 수원시 분양권 가격과 매우 흡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된다.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석만 박사

전) KT 자산운용팀(부동산) 팀장

현) (사) 한국주거환경학회 이사 / 한국부동산학 박사회 부회장

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현) RTN, 내외경제TV 등 다수 경제TV 부동산 전문위원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161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