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병한의 풍수코칭]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집터=지상(地相)을 정전지법(井田之法)으로 구분하여 나누면 9개의 구역 중에서 중앙을 제외하고 8개의 방위에 따른 8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이런 8개의 구역에 방위별로 8괘(卦)를 배속시켜 <집터=지상(地相)>과 <건물=가상(家相)>의 형상에 따른 길흉화복이 서로 다르게 일어남함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는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의 <집터=지상(地相)>과 <건물=가상(家相)>의 형상이 어떤가에 따라 그 집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길흉화복이 일어나는지를 따져보려고 한다. 즉 집터의 8개의 방위별로 8괘(卦)를 배속시켜 집터=지상(地相)의 넓고 좁듯 장결(張缺)한 형상과 길흉화복의 상관관계를 들여다보자는 이야기다.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坤)의 지형이나 건물의 구석(隅)이 크게 좁고 부족하게 움푹 들어가듯 이지러져 크게 대결(大缺)한 집터와 건물일 경우에는 집의 주인이 가업을 전혀 다스리지 않고 <강유(剛遊)·폭식·대주(大酒)·광인·불충불효·색정·쟁론·도박>을 좋아하게 되어 가업이 쇠미해 짐을 주관한다. 

따라서 이러한 집터에서는 공직자는 자리(職)를 잃고 집을  버리고 타국에 나가 낭인이 되어 의약의 업을 하든지 아니면 간혹 사원(寺院)의 직에 있는 자는 <소송·파재>가 초래되는 대흉상이라 할 것이다.

그러함의 이치는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은 만물을 생육하는 곳인데 집터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의 부족(缺)함은 지덕(地德)을 결(缺)함이기 때문에 집의 주인이 가업에 소홀해 태만하고 도박을 좋아하여 가운이 쇠미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공직자나 봉급생활자는 본래 자신의 자리를 잃고 타국에서 파재하게 됨이다.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의 집터가 크게 좁고 부족하게 움푹 들어가듯 이지러져 크게 대결(大缺)하면 상대적으로 정서방(☱兌)이 커지(張)게 된다.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태(☱兌)를 입(口)이라 하고 소녀라 했다. 따라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의 집터가 대결(大缺)함은 <여난·방탕무뢰·폭식·대주·광인·쟁론> 등을 주관하게 된다.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곤(☷坤)의 기(氣)는 건(☰乾)에 통해서 천지의 자리(位)를 정하고 만물을 생육함인데 <서남간방=곤방(☷坤方)>의 부족(缺)은 그 덕을 잃음이 된다. 즉 천지비(天地否)의 상(象)이 됨이다. 따라서 <불충·불효·불구자·광인·신경통·위암·자궁병> 등의 난병의 사람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역(周易)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괘(卦)가 상징하는 바를 설명한 설괘전(說卦傳)에서 이르기를 곤(☷坤)을 약(藥)이라 했다. 그래서 의약업을 하는 사람은 집에서 의약업을 경영하지 못하고 낭인이 되어서 타국에 나가 의약업을 하게 된다. 또 집터에서 곤(☷坤)방위가 크게 부족(缺)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정남방(☲離)이 커(張)지게 된다. 

정남방인 이(☲離)를 법정(法廷)이라 했으므로 소송의 난을 초래하게 됨이다. 이렇게 <서남간방=곤방(☷坤方)>이 크게 부족하여 대결(大缺)한 <지상(地相)·가상(家相)>은 <어머니·아내·여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서 가계단절의 두려움이 있게 된다. 그러함의 이치는 <서남간방=곤방(☷坤方)>을 어머니(母)라고 하고 아내(妻)라 하는데 그 방위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망하는 자가 많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할 경우에는 정남방(☲離)과 정서방(☱兌)이 상대적으로 커지(張)게 된다. 정서방(☱兌)을 소녀라 하고 정남방(☲離)을 중녀라 한다. 태(☱兌)는 곤(☷坤)의 상효(上爻)가 되고, 이(☲離)는 곤(☷坤)의 중효(中爻)가 되므로,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하게 되면 여자의 사망자가 많아지게 되는 이치다. 

또 이러한 지상가상(地相家相)은 형제가 집 때문에  싸우고 한 집안을 상속할 장남이 전택(田宅)때문에 싸우게 된다. 혹은 타인과 토지나 임야 때문에 싸우게 되어 법정의 난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함의 이치는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은 만물을 싣(載)고 생육하는 곳인데 <서남간방=곤방(☷坤方)>의 방위가 부족하면 치양생육(致養生育)의 기(氣)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형제간에 집 때문에 다투게 되고 장남은 <전택·토지·산림>의 소송을 불러오는 것이다.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할 경우에는 정남방(☲離)이 상대적으로 커지(張)기 때문이다. 또한 설괘전(說卦傳)에서 곤(☷坤)을 <배(腹)·위·비장·자궁>이라 했다. 서남간방(坤)의 터가 부족하면 <비장·이질(설사곱똥)·자궁병·위암·맹장·음식정체·소화불량> 등 모두가 복부의 난병이 초래될 수가 있다.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의 지형이 크게 부족하면 고대 장사가 진두(陳頭)해서 전사한 땅이 되거나 사원이나 묘지 등의 폐적이다. 그러함의 이치는 <서남간방=곤방(☷坤方)>은 정추숙살(正秋肅殺)의 기(氣)가 생기는 곳이다. 따라서 장사의 전사지라고 하며 또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하고 음(陰)에 음(陰)을 겹침 하였기에 사원이나 분묘의 폐지라고 함이다. 

집터의 공간 중에서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하고 동북간방(☶艮)의 지형이 클(張) 경우에는 반드시 석불(石佛)이 묻혀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함의 이치는 <서남간방=곤방(☷坤方)>이 부족함은 높은 존재(尊在)의 터를 잃는 상(象)이다. 동북간방(☶艮)을 <돌(石)·혼사(閽寺)·묘(墓)>라고 했다. 간(☶艮)은 물건이 묻혀있는 상이다. 

곤(☷坤)의 실제 속(裏)은 건(☰乾)이고, 건(☰乾)은 소중함이므로 석불이 묻혀있다 함이다. 이러한 집은 때때로 신경병의 사람을 내는데 그 증상이 무겁게 되면 광인이 된다. 참고로 방위는 24산(山)으로서 논해야 한다. 누구라도 45일이상 주거한 곳에서 부터 동서남북의 방향이 자연스럽게 정해진다. 

따라서 10간(干)과 12지(支) 모두 다 구비해서 처음으로 24산 방위를 적용해서 만반의 이론이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각소에서 10일이나 15일 이상 주소가 정해지지 않고 바뀌는 사람은 동서방위를 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노병한 풍수·사주칼럼리스트

-자연사상칼럼니스트 

-한국미래예측연구소장

-노병한박사철학원장

ykr0719@nbnnews.co.kr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043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