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백신 스캔들'의 주범이 보건 당국의 유착과 부패 관행이라는 주장도 제기돼

[서울=내외뉴스통신] 이혜민 기자 = 수십만 개의 불량 백신이 유통돼 영유아에게 접종된 중국의 이른바 ‘백신 스캔들’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의 주범이 보건 당국의 유착과 부패 관행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중국 제약기업 '창춘창성(長生)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우한생물제품연구소'는 품질 미달에 데이터까지 조작된 DPT(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백신과 광견병 백신을 대량으로 판매했다가 발각됐 이를 전량 회수했다.

2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명보 등 중국 외신 보도에 따르면 창춘창성과 우한연구소가 생산한 DPT 백신 등을 접종한 영유아는 36만여 명에 달한다.

특히 부모들이 자녀들의 백신 접종을 거부하거나 아예 수입 백신을 선택하는 등 원성이 높아지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까지 나서 철저한 조사와 책임자 처벌을 약속했고, 전날 가오쥔팡(高俊芳) 창성바이오 회장을 비롯한 임원 4명이 체포됐다.

 

▲베일에 싸인 창성바이오의 급성장, 그리고 정경유착과 부패관행

창성바이오는 2003년까지만 하더라도 국유기업이었지만 당시 경영진 중 한 명이었던 가오쥔팡은 베일에 싸인 민영화 과정을 통해 창성바이오의 지분 35%를 확보해 돌연 대주주가 됐다.

이후 창성바이오는 지난해 중국 광견병·수두 백신 시장에서 2위에 오를 정도의 대기업이 됐지만, 그 운영은 철저하게 구시대적 가족경영으로 이뤄져 왔다.

창성바이오의 급속한 성장 또한 기술력이 아닌 보건 당국과의 유착에 의존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지난해 창성바이오가 마케팅과 판매비용으로 쓴 돈은 5억8천만 위안(약 960억원)에 달했지만, 연구개발에 투입한 돈은 1억2천만 위안에 불과했다.

게다가 마케팅 비용의 상당 부분은 보건 당국에 대한 뇌물 등으로 쓰인 것이었다.

중국 고위급 관리들의 부패도 이번 '백신 스캔들'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가식품약국감독관리총국의 고위 관료였던 인훙장이 9개 백신 제조업체에서 300만 위안(약 5억원)에 달하는 뇌물을 받고 불량 백신의 인허가를 도운 혐의로 10년형을 선고 받았다.

수년 전에는 국가식품약국감독관리총국의 수장이었던 장샤오위가 거액의 뇌물을 받고 임상시험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약품을 허가해 줬다가 사형 선고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처벌 규정이 미약해 품질 미달의 의약품 판매와 ‘검은 거래’가 만연한 중국의 의약품 시장 풍토가 이번 ‘백신 스캔들’의 촉매제가 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의 대표 제약업체, 창성바이오 상장폐지 위기

한편 홍콩의 SCMP의 24일 보도에 따르면 창성바이오가 상장폐지 위기에 몰렸다.

실제로 창성바이오는 가짜 백신을 제조한 사실이 알려진 이후 7거래일 동안 시가총액이 절반 정도 날아갔다.

또한 선전증시는 전날(23일) 창성바이오가 공시규칙을 어긴 혐의에 대해 대주주들의 주식 판매를 금지시켰다. 이런 대주주들의 주식 판매 금지는 상장폐지의 전단계로 여겨진다.

 

hyemin.lee@nbnnews.co.kr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663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