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내외뉴스통신] 이혜민 기자 = 중국이 25%의 보복 관세를 물리기로 한 160억 달러 규모의 미 제품 대상 목록에서 당초 포함됐던 주요 품목인 원유을 돌연 제외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언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지난 8일 오는 23일부터 적용될 최종 관세 부과 대상 품목을 발표하면서 미국산 원유를 제외했는데 상무부는 이와 관련한 어떤 질문에도 답변하지 않았다.

원유는 중국이 트럼프 미 행정부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위협에 대응하는 보복 관세 부과에서 핵심적인 관세 부과 대상 가운데 하나였다. 중국은 지난해 미국 원유 수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할 만큼 지난 2년 사이 미 원유 수출의 최대 수입국 중 하나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과 업계 종사자들은 중국이 보복관세가 자국 시장에 미칠' 부메랑 효과'를 우려했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성장 둔화와 원유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고려할 때 중국이 무역전쟁을 위해 내놓은 엄포를 재검토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중국은 어느 나라보다도 에너지 자원에 대한 수요가 많다. 빠른 발전을 위해 에너지는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지난 2년간 중국은 미국산 원유 수입을 크게 늘렸다. 이에 따라 미국이 수출하는 원유의 5분의1을 중국이 소화해 주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에너지 수요의 70%를 수입에 의존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40년까지 의존도가 80%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사들여 온 중질유는 유황이 많아 긴 정유 과정을 거쳐야 하고 공해도 많이 일으킨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미국 석유제품을 다룰 수 있도록 정유공장을 개선했다.

미국산 경질유는 러시아나 사우디산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이 적고 정제 비용도 덜 소요된다. 중국이 미국산 원유에 관세를 부과한다 하더라도 미국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 쉽게 대체 수출선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 원유에서 손을 뗀다면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쉽게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는 최종 관세 부과 대상에서 원유를 제외한 것이 이란으로부터의 원유 수입을 계속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오는 11월 이란산 원유 수출을 막은 미국의 제재가 재개되더라도 중국을 예외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미 원유를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시켰다는 분석이다.

 

hyemin.lee@nbnnews.co.kr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889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