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내외뉴스통신] 장익경 객원칼럼리스트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으로 국내 병원서 치료를받은 환자 수는 각각 195만 명과 165만 명에 이른다. 이는 2010년과 비교할 때 허리디스크 환자는 21%,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74%가 늘어난 수치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지만 젊은 층인 30~40대 환자도 많아지는 추세다. 좌식생활이 많은 우리나라 환경의 특성 상, 척추관협착증 발생율도 올라가는 것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공(추간공)이 주변 조직의 변성, 디스크 파열 등에 의해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그 안에 있는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질환이다. 허리통증과 함께 허벅지 또는 종아리쪽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심해지면 잘 걷지 못한다.

누워서 다리를 올렸을 때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쉽게 다리를 올릴 수 있다. 반면 허리디스크 환자는 통증이 심해 다리를 올리기 힘든 것이 차이점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천천히 진행되는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는 드물다.
 
조기에 발견하면 증상 정도에 따라 3개월에서 6개월간 약물치료와 운동치료 같은 보존치료를 실시하면 좋아질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좁아진 신경관을 넓히는 치료를 해야 한다. 흔히 완벽한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곤 하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90% 이상은 비수술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특히 ‘추간공확장술’과 같은 시술은 수술이 어려운 고령 환자나 당뇨병·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도 받을 수 있다. 추간공확장술은 수술 후 유착이 심해져 기존 수술이 어려운 경우, 다시 말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도 적용 가능할 만큼 효과적이다.

추간공확장술은 병변의 옆구리에 금속 형태의 특수 키트를 삽입, 추간공까지 접근하는 치료 방법이다. 추간공은 척추관 안쪽에 있는데, 이 주변 신경에 유착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불필요한 조직을 떼어내 없앤다.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확보되면서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다. 기존 수술에 비해 강도는 센 반면, 정상 조직이나 뼈가 손상되지 않아 회복 기간이 짧은 것이 장점이다.
 
순천 연세광혜병원 이원창 대표원장은 “병원을 찾는 대부분의 환자는 수술이 필요 없는데도 수술을 권유받는 등 과잉진료를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며, “추간공확장술은 수술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더는 동시에 빠르고 정확한 치료 및 효과를 가져오는 시술”이라고 조언했다.

jik7522@nbnnews.co.kr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606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