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적 보도자료 제공 및 취재 제한 등의 행위는 반 민주주의적 관료주의 행태'

[고양=내외뉴스통신] 김경현 기자 = 2000년대 들어 IT 기술이 발달하면서 달라진 것 중에 하나가 언론환경의 변화일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인터넷언론사가 많이 늘어나면서 행정기관을 출입하는 기자도 많아진 것이라 하겠다. 그걸 뒤집어 생각해보면 행정기관 언론담당관의 업무량도 늘어났을 것이라는 걸 유추해볼 수 있겠다.

일예로 고양시청을 출입하는 기자 수가 150여 명에 달한다고 하니 언론담당관이 일일이 기자와 그 기자의 소속 언론사를 다 기억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도 있겠다. 때문에 신규로 출입등록 및 보도자료를 요청하는 기자가 달갑지 않을 수도 있고, 대면하는 시간이 피곤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피곤하거나 달갑지 않은 것과 그 요청에 응하지 않는 것은 분명 다른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에 출입등록 되어 있는 기자에게만 보도자료를 배포한다거나, 또는 언론사의 인지도나 행정기관의 입맛에 따라 보도자료 배포의 유무를 결정한다면 그것은 명백한 언론탄압이며 국민의 알권리 침해이다. 인지도의 크기와 관계없이 언론사는 크든 작든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존재하며 사회적 공기로써의 책무를 다해야하기 때문이다.

만약 행정기관의 언론담당관이 언론사의 인지도에 따라 기자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면, 그건 바꿔 이야기해 해당 행정기관은 시민 개개인이 가진 사회적 여건(학력, 직업, 빈부 등등)에 따라 시민을 차등하여 대할 수도 있지 않을까 우려스런 유추를 해볼 수도 있겠다. 그리고 그러한 행태는 민주주의를 끊임없이 성숙시켜 나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 반하는 것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더하여 언론사의 인지도에 따라 기자를 구분하여 선별적 보도자료 제공 및 취재 제한 등의 행위를 한다면 그것은 지극히 관료주의적 행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말 그대로 기자에게 등급(?)을 매겨 차등 적용함으로써 관리하겠다는 것이니 말이다. 그리고 그러한 사고방식이 얼마나 비민주적인 것인가는 박정희 개발독재 정권과 전두환 신군부 정권에서 ‘보도 통제’를 통해 이미 증명된 것이기도 하다.

중앙 정치인은 ‘국민의 뜻’을, 지방 정치인은 ‘시민의 뜻’을 입버릇처럼 말하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민선7기에 접어들어 지방자치가 성숙기를 맞이한 지금, 시민들의 알권리와 사회적 공기로써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 기자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출입등록과 보도자료를 요청했음에도 행정기관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한다면, 지방 정치인이 말하는 시민의 뜻이란 어떻게 형성되고 확인되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겠다.

 

newsjooo@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1273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