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ㅣ내외뉴스통신] 김경현 선임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 이하 신종 코로나) 감염증이 전 세계를 불안의 도가니로 만들고 있다. 지금과 같은 급속한 세계적 감염은 중국 정부가 바이러스 감염증 발병 후 ‘쉬쉬’하다가 19일이 지서야 발표(1월 20일)를 했기 때문이다. 그사이 우한시에서 출국한 사람 수가 500만이 넘고, 우한시에서 한국으로 입국한 사람은 3000여명에 이른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중국이 신종 코로나 감염증 발병을 발표한 당일 국내 첫 확진자(35세, 중국인, 45명 접촉)가 발생했고, 10일 만에 확진자는 11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안일함'이 한몫했다는 게 보편적 시각이다. 중국이 쉬쉬하다 뒤늦게 발표했지만, 발표 당일 첫 확진자가 나왔음에도 정부는 입국자 전수조사나 추적관리와 같은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 연휴에 들어갔다.

이후 연휴 첫날인 1월 24일 2번 확진자(55세, 한국인, 75명 접촉)가 발생했고, 26일과 27일 3번(54세, 한국인, 95명 접촉)과 4번(55세, 한국인, 172명 접촉)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3번과 4번 확진자는 우한시에서 무증상으로 입국해 확진 판정을 받기 전까지 일상적인 생활을 했다. 그로인해 현재 3번 확진자와 접촉했던 사람(6번 확진자)에 의해 3차 감염자(10·11번 확진자)까지 발생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물론 3번 확진자가 나오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우한시에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지시했고, 감염병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격상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설 연휴 전에 무증상으로 입국해 확진 판정을 받기 전까지 이들은 병원·식당·카페 등을 방문하며 아무런 제재 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했다. 그 결과 직접 접촉에 이어 3차 감염자까지 발생했고, 잠복기가 최대 14일이라는 걸 감안할 때 추가 감염자가 나올 수도 있다.

2015년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 사태’ 당시 박근혜 정부의 안일한 대응은 사태를 키웠고, 결국 38명이라는 소중한 생명이 사망했다. 그때도 정부는 감염 초기단계 대처에 솔홀했고, 감염경로를 비롯해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부처 간에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당시 야당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은 박근혜 정부와 집권당인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을 강하게 질타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렇다면 지금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어떨까. 안일한 초기대응, 국민적 불안을 막겠다며 소극적인 정보공개, 우왕좌왕하며 부서 간 손발이 전혀 맞지 않는 모습 등등 메르스 사태를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의아하다. 노무현 정부의 정책들을 계승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가 신종 코로나 감염증 초기 대처는 노무현 정부의 ‘사스’ 대응과 달리 박근혜 정부의 메르스 사태를 떠올리게 하니 말이다.

어쩌면 그 이유는 간단한 것일 수도 있겠다. 문재인 정부는 박근혜 정부가 썼던 ‘독선’이라는 브랜드의 색안경 쓰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그래서 노무현 정부의 선제적 조치가 아닌 박근혜 정부의 안일함, 즉 ‘안전불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로 신종 코로나에 대해 초기대응을 한 것은 아닌지 향후 되짚어볼 일이다.

 

newsjooo@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047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