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뉴스통신] 김경현 선임기자 = 지난 4일, 정의당 류호정 의원이 분홍색 원피스를 입고 국회 본회의장에 나타났던 게 연일 논란이 되고 있다. 그것도 ‘이게 웬 난리일까’ 싶을 정도로 무성하게 말이다.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와 폭우로 인한 재해, 무엇보다 균형점을 잃고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0대 비례대표 여성의원의 옷차림을 가지고 왈가왈부할 때일까 싶어 의아하기만 하다.

논란의 핵심은 “정장 차림으로 국회의원이 권위를 세우던 시대는 지났다”는 류 의원과 ‘적어도 본회의장에 들어갈 때는 정장을 입는 게 국민에 대한 예의’라는 입장 차이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떠오르는 한 사람이 있다. 2003년 금배지를 단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도 당시 ‘빽바지’ 차림으로 국회 본회장에 나타났었다. 당연히 그때도 많은 논란을 일으켰고, 17년이 지난 지금 그 논란이 재연된 것이다.

이 논란에 대한 기자의 생각은 이렇다. 류 의원의 말처럼 정장을 입어야만 국회의원의 권위가 서던 시대는 이미 지나도 한참 지났다. 바꿔 말해 류 의원의 주장은 철이 지나도 한참 지나 유통기한이 끝난 주장이란 말이다.

2016년 촛불시위를 통해 대통령을 탄핵하고, 정권을 교체시킬 만큼 정치적 시민의식이 높아진 지금, 국회의원의 정장 차림에서 권위를 느낄 국민은 없기 때문이다. 있다면 그건 아마도 그런 시선으로 국회의원을 바라보기 때문일 테다.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국회의원의 권위는 옷차림이 아니라, 특권을 법제화 하면서 스스로 권위를 만들기 때문이다. 국회가 새로 개원하면 의례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말하지만, 오히려 그들의 특권은 더 많아지고 더 견고해지는 게 진짜 문제다.

이를 테면 200여 가지의 특권에, 이번 21대 국회에서는 국회의원도 현충원에 안장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안이 여야가 한뜻으로 발의됐다. 이처럼 국회의원의 권위는 특권을 담은 입법화로 만들어지고 있다.

때문에 국회의원의 권위를 깨고 싶다면 뜬금없이 원피스로 이목을 집중시킬 게 아니라, 먼저 특권을 내려놓아야 하고 그와 관련된 연구와 사회 공론화에 앞장서야 한다.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 입법화를 통해 그 특권(권위)을 제거해야 한다.

덧붙여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하자면, 우리에게는 풍습 또는 관습이란 게 있고, 더 나아가 관습법이란 게 있다. 예를 들어 상갓집에 조문을 갈 때는 검정색 정장을 입어야 하고, 작업(재난) 현장을 방문할 때는 작업복(굳이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차림으로 간다. 그건 상대와 주변인에 대한 예의와 공감을 표하기 위한 것이다.

국회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 들어갈 때 정장을 입는 것도 그와 같은 이치일 테다. 이는 동료 의원에 대한 존중, 더 나아가 국민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다.

굳이 여기에 국회의원의 권위를 덧칠하는 건 진보정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진보적 말장난(철지난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정의당이 말하는 진보정치가 고작 옷차림으로 국회의원의 권위를 깨는 것도 아닐 테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권위는 타인이 세워주고, 품위는 스스로 만든다. 어쩌면 이 해프닝은 권위와 품위를 구분하지 못하는 젊음이 불러온 것일 수도 있겠다만, 철지난 진보적 ‘코스프레’라면 이 역시 사라져야 한다. 이런 논란은 불필요한 정치 · 사회적 낭비만 가져오기 때문이다.

 

newsjooo@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539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