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내외뉴스통신] 장혜린 기자

방송에서 수백여 명의 의문의 죽음 등 수많은 의혹과 비리 등에 휩싸인 국내 최대 규모의 복지재단 '형제복지원'을 조명해 네티즌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2015년 방송된 SBS 시사 고발 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27년동안 밝혀내지 못한 형제복지원의 진실을 파헤치며, 원장 박 씨가 여전히 재단법인을 운영하며 '복지재벌'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을 추적했다.

1975년, 부산시와 부랑인일시보호사업 위탁계약을 맺은 형제복지원은 국가보조금을 지원받으며 3,000여 명의 부랑인을 수용했던 전국 최대 규모의 '사회복지기관'이었다.

하지만 1987년, 우연히 산 중턱의 작업장에 감금된 수용자들을 목격한 한 검사의 수사를 시작으로, 형제복지원의 실체가 드러났다.

조사 결과 12년의 운영기간 동안 무려 513명이 사망한 사실이 밝혀졌고, 수용자들에 대한 폭행과 감금 혐의와 함께 수십 억의 외화가 복지원 내에서 발견됐지만 정확한 실체도 밝혀지지 못한채 묻혀 버렸다.

형제복지원은 원래 연고지가 없는 부랑인들 위해 국가가 숙식제공과 기술을 가르쳐 사회로 다시 내보기 위한 사업의 위탁기관 이지만 형제 복지원은 연고지가 있는 사람들도 강제로 붙잡아 복지원에 수용했다.

심지어 부모가 있는 어린이나 학교에서 공부를 마치고 밤늦게 귀가하던 중학생도 있었고 20대의 젊은이도 있었다. 공통적인 것은 그들 역시 영문도 모른 채 납치되다시피 트럭에 태워졌다는 것이다.

불안에 떨며 한참을 달린 끝에 그들이 도착한 곳은 높은 담장으로 둘러싸인 수용소 같은 건물이었고, 그 거대한 철문을 들어서는 순간 그들의 비극은 시작됐다.

그곳은 마치 군대나 교도소와 같아 수용자들에게는 '번호'가 붙여졌고, 머리를 짧게 깎인 채 아동소대, 여성소대, 성인소대로 분류되어 '내무반' 생활을 해야만 했다고 한다.

똑같은 파란색 운동복을 입고 '소대장'과 '중대장'의 감시 아래, 매일 강도 높은 제식훈련과 강제노역이 이어졌다고 했다.

특히 어른 아이 구분 없이 가해지는 무자비한 구타와 성폭행이 곳곳에서 벌어졌고 부상을 입거나 병이 나도 제대로 된 치료는 받을 수 없어 그들은 그곳을 '지옥'이라고 했다.

형제복지원이 이처럼 강제로 원생들을 모은것은 국가에서 지급되는 수용인들의 식대 등 보조금을 많이 받기 위한것과 이들에게 강제로 노역을 시켜 수익을 올리기 위함 이었다.

수사 한 달 만에 형제복지원의 원장 박씨는 특수감금, 업무상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

하지만, 검찰 조사동안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던 박씨는 7번의 재판 끝에 업무상 횡령, 초지법 위반, 외환관리법 위반에 대해서만 유죄가 인정돼 2년 6개월 형을 받았고, 형제복지원의 실태에 대한 진상은 끝내 밝혀지지 않은 채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

그런데, 30여 년이 지난 형제 복지원에서 지금까지 513명의 사망자 시신을 병원에 팔았다거나 뒷산에 암매장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었다.

이에 제작진은 검찰의 수사 자료를 토대로, 오랜 추적 끝에 당시 형제복지원에서 수용자를 관리 감독하던 '소대장'을 만나 놀라운 사실을 들을 수 있었다.

1987년, 형제복지원이 폐쇄된 이후, 원장 박씨 일가는 '형제복지지원재단'으로 법인 명칭을 바꾸고 여전히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2005년, 재단이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118억 원을 불법 대출 받은 사실이 부산시의 감사를 통해 드러났다. 복지시설 운영비를 마련하기 위한 수익사업체를 갖고 있고, 국가 보조금을 받고 있으면서도 상상하기 어려운 금액의 돈을 대출받은 것이다.

복지시설 운영비를 마련하기 위한 수익사업체를 갖고 있고, 국가 보조금을 받고 있으면서도 상상하기 어려운 금액의 돈을 대출받은 것이다.

형제복지원에 수용됐던 피해자들은 대부분 형제복지원 출신이라는 사실을 숨긴 채, 지금도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받으며 고단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이 재조명 되면서 2012년 11월 발간된 '살아남은 아이'라는 제목의 책이 주목받고 있다.

부산형제복지원에서 벌어진 인권 유린 사건을 파헤진 '살아남은 아이'는 9살때 영문도 모른 채 부산형제복지원으로 들어가 수용소 생활을 경험한, 원생이 28년만에 떠듬떠듬 입을 연 생존을 향한 사투기다.

1975년, 부산시와 부랑인일시보호사업 위탁계약을 맺은 형제복지원은 국가보조금을 지원받으며 3,000여 명의 부랑인을 수용했던 전국 최대 규모의 '사회복지기관'이었다.

하지만 1987년, 우연히 산 중턱의 작업장에 감금된 수용자들을 목격한 한 검사의 수사를 시작으로, 형제복지원의 실체가 드러났다.

조사 결과 12년의 운영기간 동안 무려 513명이 사망한 사실이 밝혀졌지만 정확한 실체도 밝혀지지 못한채 묻혀 버렸다.

누나와 아버지 역시 복지원 피해자인 저자는 형제 복지원의 피해자를 만나 참혹한 부산형제복지원의 인권 유린 사건을 신랄하게 밝혀나간다. 참혹한 실상 속 이름도 없이 스러져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1984년 부산형제복지원 입소. 1987년 형제복지원 사건으로 서울 소년의 집으로 이송, 서울 마리아 갱생원을 거쳐 1992년 사회에 나왔다.

 

hrjang@nbnnews.co.kr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451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