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들이 가져야 할 행동과 마음의 변화

[서울=내외뉴스통신] 김은정 기자 

(사진 굿스테이지 제공)

                           (사진 K-클래식제공)

코로나 2.5단계가 되기 전, 음악평론가 탁계석과 우리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약속을 잡았다. 2.5단계가 되어 카페 사용이 불가해 양재 시민의 숲 벤치에서 늦가을의 분위기를 느끼며 깊은 얘기를 나눴다. 슈베르트는 31살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토록 가난하면서도 예술을 놓지 않았듯 생존의 위협 속에서도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예술가라고 이야기하는 탁계석. 우리의 것을 널리 전하기 위해 애쓰는 K-Classic 조직위원장으로서 이제 그는 서양의 전유물인 클래식이 이제는 그들만의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어떻게 지내고 있으세요?

요즘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라는 환경에서 어떻게 생존을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 예술가들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환경에서 고통과 상처를 받고 좌절합니다. 그렇지만 전 인류가 다 겪고 있는 아픔이고 자신의 잘못도 아니기에 현재 활동을 못 한다고 경제적 수입이 없다고 절망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이 시대에 예술인들은 어떻게 지내야 할까 생각해 봐야 합니다. 결론적으론 이 고통 속에서 버텨 예술이 빛날 수 있는 어떤 성과를 찾아야 해요. 생계에 위협을 받으면 당연히 위축됩니다. 하지만 예술가는 달라야 합니다. 고통을 통해 빛날 수 있다는 것을 예술사에서 증명하고 있잖아요? 슈

베르트는 31살 때 세상을 떠났지만 그토록 가난하면서도 결코 예술을 놓치지 않았죠. 고흐 역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불후의 명작을 냈습니다. 이렇듯 절체절명의 생존 위협 속에서도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예술가에요. 그렇기에 예술가는 힘든 삶을 고통으로만 느낄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동기부여로 받아들이며 경험과 예술적 기술을 융합 시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음악평론가로서, 한국예술비평가협회장으로서, 또 창작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어요. 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유학을 가려고 준비했지만 상황이 어려워, 대학 졸업 후 서울시합창단에 들어가 5년 정도 창단멤버로 활동했어요. 그 후 1983년에 성음레코드사 클래식 담당으로 3년간 일을 하면서 레코드음악이라는 잡지에 글을 쓰게 되었어요. 그 후에는 프리랜서로 활동을 시작하고 1996년 21세기 문화광장을 만들어 중요매체에 칼럼을 쓰는 등의 스타적인 평론 활동을 왕성하게 했습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21세기 문화광장의 이름을 한국예술비평가협회로 개명했어요. 비평가라는 것이 조직적 개념보다는 자유와 개성을 기본 바탕으로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열린 공간이에요. 지금은 비평과 관련된 칼럼도 쓰고 있고 좋은 음악가들을 발굴하기도 합니다.

창작의 인연은 가평의 가일미술관 가곡음악회에서 작곡가 임준희를 만나면서였어요. 그 당시 이순신 탄생 600주년에 관한 곡을 써달라고 성악가 임성규에게 연락이 왔습니다. 그래서 제 가사에 임준희 작곡의 ‘독도의 노래’를 만들면서 시작됐지요.

뉴노멀(New Normal)에 집중하고 있으신대요. 여기에서 예술인들이 가져야 할 행동과 마음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미래의 학자들은 펜데믹 이후 뉴노멀(New Normal), 즉 새로운 표준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새로운 것으로 사회가 갈 수밖에 없는 운명적 변화가 오고 있다는 것이죠. 기술이 발전됨에 산업 혁명이 일어나고 자본주의를 융성하게 하는 서구의 메카니즘도 벽에 부딪혔어요. 각 나라에 부품을 위탁하고 조합해 단가를 낮춰 좋은 상품으로 경쟁력을 만들었던 글로벌 산업화였지만 지금은 다 모을 수가 없죠. 비행기가 뜰 수 없고, 배가 운행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 예술 역시 국제 교류가 불가해요.

운동 경기장도 활용이 원활하지 않듯 공연장도 연주를 열었다가 상황이 좋지 않으면 문을 닫습니다. 당연히 공연을 기획 자체가 부담되고, 관객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간을 두려워하여 못 옵니다. 하지만 연주가들은 기량이 떨어지지 않게 이 시기를 초절전 하면서도 연주의 기술력 연마를 멈추면 안 됩니다. 더 많이, 더 깊이 그리고 긴 안목에서 자신을 성찰할 시기에요. 어떤 경우든 예술의 불은 꺼지지 않기에 이럴 때일수록 에너지를 비축하고, 바빴던 일상 때 못 봤던 책도 보고 산책도 하면서 조금 더 여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훈련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선생님이 주창하고 있는 K-Classic과 K-Opera에 대해 궁금합니다. 어떤 비전을 보고 있나요?

동방의 빛 (K-클래식제공)
동방의 빛 (K-클래식제공)

K-Classic은 2012년 양평뮤직페스티벌에서 출발했어요. 우리의 전통을 바탕으로 서양의 기술력, 연주력 또는 작품 능력 등을 조합해 새 작품을 만드는 취지로 시작했지요. 이미 우리 예술가들은 베토벤, 슈만, 브람스 등의 서구음악을 충분히 섭렵해 기술 및 양식, 스타일 등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높은 예술적 위치에 있어요. 그렇다면 그들이 쓴 작품도 하고, 우리 독자적인 상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제 수입 시절은 지나갔어요. 

K-Classic은 K-Pop에서 따왔습니다. K-Pop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듯 K-Classic이란 용어를 브랜드화해서 많은 작업을 했어요. 그중에서 제가 주력한 장르는 그동안 부각되지 않았던 칸타타입니다. 유럽에서 17세기~18세기 중엽까지 활성화된 칸타타는 사실 옛날에도 윤용하, 김성태, 김동진 선생님이 만든 곡도 있었어요.

그때는 공연이 한 번만 올려지고 지나가 버려 아쉬웠죠. 그 후 2011년부터 제작하여 ‘한강’, ‘Song of Arirang’, ‘조국의 혼’, ‘달의 춤’ 등의 90분짜리 작품으로 만들어 국립합창단과 서울시립합창단에서 연주했고,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하여 최고의 작품성으로 발휘하여 부활시켰습니다. 내년에 두 작품이 더 올라가 기대가 됩니다. K-Opera(K-오페라) 또한 우리 창작 오페라에 대한 관심을 이어온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많은 토론회와 작품을 보면서 ‘소나기’, ‘도깨비 동물원’, ‘메밀꽃 필 무렵’, ‘미스킴’ 등의 작품을 냈어요. 계속적해서 발전시킬 생각이에요.

이 두 개의 축을 바탕으로 오늘의 현대작품이 국내의 시장을 활성화하고 또 해외의 글로벌 시장에 나갈 수 있는지 다뤄왔어요. 또한 아까 말한 뉴노멀, 새로운 표준을 만드는 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고 생각해요. 아직은 우리 자체 내에서 만드는 단계일 뿐 서구에서 우리의 것을 인식할 단계는 아닙니다. 간헐적으로 오페라단들이 외국에 나가 우리 오페라를 올린 적은 있지만, 아직 유럽 전체 흐름의 인식에는 확산하지 않았죠. 이 역시도 시작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대중 쪽은 싸이, BTS, 이날치밴드 등 서구 사람들의 눈길 돌릴 일이 나오는 것처럼, 우리 K-클래식과 K-오페라도 클래식 미래에 대한 예측과 함께 우리 작품을 내는 한류 콘텐츠로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K-오페라 토론회(K-클래식 제공)
K-오페라 토론회(K-클래식 제공)

 

K-Classic과 K-Opera 음악 대본을 직접 썼다고 들었습니다. 대본을 쓸 때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또, 어떤 마음가짐과 행동이 필요할까요? 작곡가와의 협업은 어땠나요?

대본 자체가 음악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음악 대본과 연극 대본은 차이가 있어요. 

음악 대본은 대본과 가사가 음악으로 표현될 수 있게끔 써야 합니다. 음악을 모르고 연극 대본처럼 많은 양의 다양한 이야기를 쓰게 되면 음악이 가진 팩트를 못 읽어요. 

오페라 아리아는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녹여내는 압축적 기술과 성악적 테크닉이 붙어야 생명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노래에 대한 언어적인 감각과 문학을 바탕으로 대본을 써야 하고, 작가 자신이 노래할 줄 알아야 해요. ‘오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O mio babbino caro)’를 들었을 때 잔니스키키(Gianni Schicchi)라는 오페라가 생각나듯, 노래 하나에 생명력이 있어야 합니다. 결국 오페라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이 필요해요. 오페라를 모르면서 오페라 대본을 쓸 수 없고, 쓰더라도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없습니다. 작곡가도 오페라의 현장성을 당연히 알아야 하고요. 

사실 대본가와 작곡가 사이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제 대본은 재료일 뿐이죠. 제 재료는 쉐프에게 이제 넘어갔고 쉐프가 저의 재료를 많이 쓰거나 잘라버릴 수 있어요. 10년 전부터 문화예술위원회에서도 작곡가와 대본가를 위한 아카데미가 시작되었어요. 다행히 아카데미에서 대화를 통해 대본가와 작곡가 사이의 벽이 상당 부분 허물어졌지만, 태생적으로 대본가가 오페라에서 나오지 않았고 전문적인 오페라 대본가가 없기 때문에, 아직 갈등은 많습니다. 바그너도 대본에 대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자신이 글을 써버려요. 독일은 클래식 초기에는 대본가가 없어 이태리 사람이 직접 썼어요. 대본을 가볍게 보지 않아야 합니다. 매우 중요한 핵심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작곡가와 호흡을 충분히 해야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있어요. 축구에 비교하면 좋은 패스와 같은 거예요. 정확하게 패스하면 골이 잘 들어가는데 패스를 잘못 주면 힘듭니다.

K-Classic은 임준희 작곡가와 협업하였고, 칸타타 작곡은 국립오페라단의 전속 작곡가인 오병희와 우효원 두 사람과 작업을 거의 했습니다. 작업하는 동안 즐거웠고 갈등도 없었어요. 특히 오병희 작곡가는 저와 작업 하는 것을 천생연분이라고 해줬어요. (웃음) 또한 저와 작업한 사람들은 그 작품이 작곡가의 대표작이 되어 작품성을 보여준 음악이 많아요. 작곡가 안현정이 쓴 오래된 정원은 교과서에 실리고 음반 표지가 되었어요. 작곡가 정덕기도 김치, 된장, 와인 이런 작품으로 이름을 알리고, 작곡가 임준희는 Song of Arirang, 한강, 오병희는 조국의 혼, 동방의 빛, 코리아 판타지. 우효원의 달의 춤 등 명작을 배출했습니다.

어려운 시국, 예술가들을 위한 어떤 정책적 변화가 필요할까요?

첫 번째는 극장의 역할이 어떻게 변해야 할지가 큰 과제로 남았다고 봅니다. 음악가는 돈이 없고 예전처럼 스폰서를 받아 공연하는 것은 경제성이 없기에 무리가 돼요. 지금까지의 극장은 예술가가 대관해서 공연을 했는데 사실은 극장의 공공성을 높이면서 예술가들의 부담을 낮춰주는 고민을 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대학에서 교수 및 강사를 평가하는 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발표회의 70% 이상이 학교의 실적물로 대체가 돼요. 사실은 연주 한 번 할 때마다 돈이 엄청 필요합니다. 하지만 연주자들에게는 실적을 높여야 일자리를 얻을 수 있으니 큰 비용을 내면서 힘들게 힘들게 연주를 올려요. 그런 연주자들을 모른 채 무시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요즘 비대면으로 온라인으로 어디서든 기량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굳이 큰돈을 들이지 않은 연주도 실적으로 쳐준다고 정책을 바꿔주면 연주가에게 어마어마한 혜택을 주는 거죠. 집에서도 살롱콘서트를 열 수 있고요. 사회가 바뀌는 만큼 대학도 바뀌어야 합니다. 예술 인력이 더 활성화되어 경제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현장 못지않게 대학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해요. 

도널드 워맥 (K-클래식제공)
도널드 워맥 (K-클래식제공)

 

마지막은 우리 가곡의 발전입니다. 예전에는 외국 가곡들을 많이 부르고 배운 것을 가지고 발표했지만, 지금은 시대가 지나갔어요. 여전히 가사에 관한 내용을 못 알아듣고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가곡이 많아지는 이 시점에 대학, 콩쿨, 공연장 등 연주자에게 우리 작품을 어느 정도 했는지 기준으로 삼으면 패러다임이 확 바뀌어버리죠. 작곡자들의 가곡 연구는 깊어지고, 성악가들이 가곡을 부르는 훈련을 강화함으로 잘 부르게 됩니다. 좋은 효과로 관객 시장이 만들어지면서 외국작품보다는 우리 작품 공연을 했을 때 경쟁력이 높다는 거죠. 영화에서는 판명이 났어요. 80~90년도는 우리 영화 보다 외국영화를 많이 봤는데, 요즘은 외국영화를 잘 안 봅니다. 그만큼 창작 기술이 높아졌어요. 이제 인식을 바꾸는 일이 숙제가 될 것 같습니다.


칸타타 코리아 판타지 공연 후 왼쪽부터 평론가 탁계석, 작곡가 오병희, 바리톤 길병민, 지휘자 윤의중

앞으로 예술가는 어떤 행동과 목표를 취하면 될까요?

예술가들은 외국곡에는 열심인데 우리곡에는 많은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요. 그냥 우리말이니까 아는 수준으로 봅니다. 그러면 공연을 보러온 관객은 시가 가지고 있는 깊은 뜻을 전달받지 못하고 시의 깊은 감동이 없습니다. 그래서 성악가들은 외국의 높은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우리 것을 보는 눈과 깊은 맛을 낼 수 있는 테크닉과 우리나라만의 정서와 문화에 관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우리 것을 세계적인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곡가만 노력해서는 안 된다고 봐요. 작곡가와 연주자가 같이 가야 합니다. 

오병희 길병민 윤의중
탁계석 오병희 길병민 윤의중 (K-클래식제공)

향후의 계획이 무엇인가요? 

“정보가 넘치는 이 시대에서 이런 어려울 때일수록 가치 있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저는 우리나라 음악 역사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기록을 남기는 일이 저의 마지막 과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음악 평론가로서 활동하던 탁계석은 지난 몇 십 년간 봐온 클래식 공연 리뷰를 냉정하고 통찰력 있게 써오면서 우리 음악의 부재와 우리나라 예술가들의 삶을 누구보다 애통하고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을 것이다. 이 뉴노멀 시대 서양으로 수출 할 수 있는 우리의 것을 개발하자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여 용기 있게 K-Classic 선두주자로 나서는 모습을 보며 우리 음악계를 향한 부드럽고 깊고 진한 사랑이 가득했다. 

“아직도 대한민국의 문화예술 현실은 더욱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자랑스러운 연주자들이 좀 더 우리만의 것을 아껴주길 희망하며, 예술가들이 좀 더 큰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평론가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해 응원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진 한 컷 부탁드렸을 때 인자한 미소로 웃었던 선생님의 모습이 기억에 남았다. 선생님이 있기에 한국 음악계는 계속 발전하고 전파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 희망이 있었다. (뮤직리뷰 송한나 기자) 

(굿스테이지제공)
(K-클래식제공)

 

grennp2@naver.com​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7735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