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내외뉴스통신] 김수찬 기자 = 은퇴 고령가구의 부채 정리(디레버리징) 과정에서 실물 자산 처분이 크게 증가해 부동산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부채 디레버리징 성향이 높은 50~60대의 실물 자산 보유 비중이 높아 부동산 가격 하락에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22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55~74세 가구의 실물자산 비중은 약 80%로 미국을 크게 상회할 뿐 아니라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2~3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55~74세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경우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85~115%로 높아 금융부채 상환을 위해 실물자산을 처분할 가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자산축적연령인구(35~59세)가 2018년 이후 감소로 전환하면서 부동산가격에 추가로 하락 압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또 자산축적연령인구 감소 및 고령화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빨라 가계의 금융부채 디레버리징이 단기간에 집중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한은은 내다봤다.
자산축적연령인구 비중은 2016년 40.4%를 정점으로 10년간 3.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국 평균 2.0%포인트에 비해 약 2배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2018년)에서 초고령화(2026)로 진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8년으로 주요국 평균 31년에 비해 약 4배 정도 빠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간별로는 자산축적연령인구의 감소 규모와 60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 규모가 가장 큰 2020~2024년 중 인구 고령화에 따른 부채 디레버리징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영향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은퇴 고령가구의 금융부채 디레버리징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할 경우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고령가구도 크게 늘어날 수 있다.
부동산 가격 하락 및 소득 감소에 취약한 한계가구의 42.1%가 50~60대라는 점에서 향후 이들의 금융부채 디레버리징 관련 잠재위험이 적지 않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은퇴 이후 금융부채 디레버리징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할 경우 고령가구의 재무건전성도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2014년 현재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60대 이상 고령가구의 금융부채 비율은 200%를 상회하고 원리금상환부담률도 30%를 웃돈다.
한은은 부채 상환 등을 위한 실물자산 처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동산시장 충격 최소화를 위해 △주택연금제도 활성화 Δ실물자산 보다 금융자산 보유가 유리한 조세제도 △공공임대 주택 공급 확대 △개인연금 가입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capksc3@nbnnews.co.kr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682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