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선재도 부속도 측도를 잇는 바닷길 주변 갯벌서 빈번하게 발생

[인천=내외뉴스통신] 김형만 선임기자

인천시 옹진군 선재도 부속 도인 측도에 입도하기 위해서는 꼭 지나가야 할 길이 있다. 이곳 사람들은 이 길을 '목떼미'라 부른다.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 일몰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 일몰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 야경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 야경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이 길은 도로의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는 바닷물이 빠지면 드러나는 길이다. 이 길은 측도 사람들에게 선재도 또는 인천으로 나가는 유일한 통로이다. 그 길이 바닷물에 잠겨있는 때에는 배가 아니면 들어갈 수 없어 길 입구에서 바닷물이 빠질 때를 기다린다.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이 물에 잠긴 모습, 이날도 급하게 빠져나오던 포터 차량이 중간 부분에서 물에 잠겨 해경에 의해 구조되어 나오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선재도 부속도 측도 들어가는 바닷길이 물에 잠긴 모습, 이날도 급하게 빠져나오던 포터 차량이 중간 부분에서 물에 잠겨 해경에 의해 구조되어 나오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왜 이런 불편을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나 반문할 수도 있다. 흔히 인도교나 다리 하나쯤 연결하면 될 것을. 물론 그를 간절히 요구하는 목소리가 지금도 나오고는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주민들 숙원사업이 더뎌지고 있다.

이유 중 한 가지는 600여 미터 되는 거리도 문제지만 바닷물의 흐름을 막는 장애물이 생기면 갯벌 지형의 변화로 어장 훼손이 염려되기 때문이다. 사실 물의 흐름이 바뀌면 그로 인해 많은 변화가 생긴다. 특히 어장 훼손은 어민들의 생계와 직결되어 있다. 바지락 등 각종 양식사업에 치명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주민의 유일한 통로인 이 길 주변 갯벌에서 웃지 못할 해프닝과 사고들이 자주 일어난다. 최근 갯벌에 고립된 자동차 기사가 그 예다.

▲ 서울경제에 보도된 갯벌 고립 차량 (사진=서울경제 보도 캡처)
▲ 서울경제에 보도된 갯벌 고립 차량 (사진=서울경제 보도 캡처)

 

"차가 왜 갯벌로 들어가지?" 이곳 사람들은 아니 일반인들의 상식으로도 그들의 행동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도로, 길이 아닌 갯벌을 들어간 운전자는 무슨 생각으로 그리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갯벌에 들어갔다 나온 차는 세차를 아무리 깨끗하게 하더라도 바닷물과 미세한 입자의 갯벌은 그대로 남을 수 있고 그것이 차량 부식을 불러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야간에 갯벌에 고립된 후 보험사의 도움을 받아 견인되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야간에 갯벌에 고립된 후 보험사의 도움을 받아 견인되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간혹 야간에 지형을 몰라 갯벌에 빠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 또, 바닷물이 빠르게 밀려 들어오는데도 그 길을 빠져나가려다 중간에서 잠겨버리는 사고도 일어나곤 한다. 그동안 인명사고까지 연결되지 않아 다행스럽지만 모든 사고의 주원인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이다. 그로 인해 물적, 금전적 손해를 당하게 된다. 

고립 사고를 당한 사람들은 "안전 장치하나 없냐고 볼멘소리한다" 이는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자처해서 하고 도리어 따지는 격이다. 대부분 어쩌나 하는 동정뿐이지 그에 맞장구쳐주는 사람은 없다. 이미 벌어진 일 아주 비싼 교훈을 하나 얻었다고 생각하고 이후의 대처·구제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더 현명하다.

아울러 옹진군과 해양경찰은 ‘자동차 갯벌 고립 사고 잦은 곳’이란 주의 간판을 바닷길(목떼미) 입구에 설치해 운전자 스스로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안전조치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만약, 갯벌에 고립되었다면 신속하게 보험사에 전화해 견인 서비스를 받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주말과 휴일 교통체증이 심한 시골 도로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보험사 조력으로 시간 내에 안전지대로 견인 받는 것이 좀 어려울 수도 있다.

▲ 갯벌에 고립되었다 바닷물에 잠긴 승용차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갯벌에 고립되었다 바닷물에 잠긴 승용차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차선으로 지역 주민들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먼저 최악의 상황인 바닷물이 코앞에까지 들어온 상태라면 엔진 내부로 바닷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해야 한다. 먼저 엔진을 끄고, 보닛을 열고 배터리 단자를 분리 전원 차단한 후 배기관(머플러)을 막아야 한다. 

▲ 갯벌에 고립되었다 중장비에 의해 견인되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 갯벌에 고립되었다 중장비에 의해 견인되는 모습 (사진= 김형만 선임기자)

그다음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지역 주민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이 현명하다. 자력으로 갯벌을 빠져나오기 위해 무리하게 핸들을 조작하다 보면 갯벌 특성상 차가 더 깊이 빠져 견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길이 아니면 가지 말라 했다" 갯벌에 고립되는 사고는 대부분 들어가면 안 되는 것을 알면서도 운전자가 순간적인 허세를 부리다가 그리된다. 그 허세가 수천만 원 하는 차를 짠물에 절이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hyung1016@naver.com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3309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