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뉴스통신 연재] 조조는 측근들에게 자주 이런 말을 했다.

"나는 꿈을 꾸다가 사람을 죽이는 수가 있으니, 내가 잠들거든 절대로 가까이 오지 마라"

어느 날, 조조가 낮잠을 자다가 침상에서 굴러 떨어졌다. 근위병 한 사람이 얼른 들어가 조조를 부축해 침상으로 올리려 했다. 그러자 조조가 벌떡 일어나더니 갑자기 칼을 뽑아 그 근위병의 목을 쳤다. 그리고는 다시 침상 위로 올라가 잠을 잤다. 한참 뒤 잠에서 깨어난 조조, 목이 떨어진 시체를 보고 깜짝 놀라며 물었다.

"누가 이 사람을 죽였느냐?"

주위 사람들이 본 대로 대답하자, 조조는 슬피 울고 죽은 근위병을 후하게 장사지내도록 지시했다. 그 뒤로 측근들은 조조가 정말 잠결에 사람을 죽이는 줄 알고 조조가 잠이 들면 그 근처에 얼씬도 하지 않았다.

측근들조차도 믿지 못한 조조, 자신의 안전을 위해 연극을 한 것인데 그의 각본과 연기, 마무리 솜씨가 얼마나 훌륭했던지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런데 근위병의 장례식 날 영구(靈柩) 앞에서 조조의 음흉한 연극을 비꼬는 듯 탄식하는 사람이 있었다.

"가엾구나, 조 승상이 꿈꾸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대가 꿈꾸고 있었던 것이네!"

양수(陽修)였다. 자는 덕조(德祖). 동탁과 그의 잔당 이각과 곽사가 전횡하던 시절 조정 중신을 지낸 태위 양표의 아들로서 일찍부터 천재로 명성을 떨친 재사(才士)이다. 승상부에서 주부(主簿)를 맡고 있는데, 평시에는 서고(書庫)를 관장하면서 조조의 셋째 아들 조식을 가르쳐왔다.

천재 양수가 조조의 휘하에서 어떻게 재기를 떨치다 중도에 사라져갔는지, 그의 불우한 생애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조조가 궁궐 한쪽에 화원을 꾸며보라고 지시한 적이 있었다. 화원이 완성되자 조조가 와서 한 바퀴 빙 둘러보더니, 문 가운데에다 '활(活)' 자를 써놓고 돌아갔다. 조조의 의중을 헤아리지 못해 모두들 어리둥절하고 있는데, 양수는 금방 알아차렸다.

"문(門) 안에 활(活)자를 써 넣었으니 '넓을 활(闊)' 자가 되지요. 문이 너무 넓다는 뜻입니다"

모두들 탄복하고 다시 문을 좁혔다. 조조가 흡족해 했음은 물론이다. 나중에 조조는 양수가 그렇게 알려준 것을 알고는 은근히 경계하는 마음을 가졌다. 자신의 속을 빤히 들여다보고 있는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이런 일도 있었다. 위왕에 오른 조조가 큰 아들 조비와 셋째 아들 조식 중에서 누구를 세자로 세울 것인지 고민하고 있을 때이다. 두 왕자의 역량을 재보려고 조조는 시신(侍臣)들에게 이렇게 명을 내렸다.

"내일 두 왕자를 도성으로 부를 터이니 두 왕자가 성문에 이르거든 절대로 안으로 들여보내지 마라"

다음날, 먼저 조비가 성문 앞에 도착했으나 수비병들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쳐 돌아가고 말았다. 조식이 왔다. 역시 수비병들이 완강하게 제지했으나 조식은 "왕명을 받고 들어가는 것은 활을 떠난 화살과 같아서 되돌아설 수 없음을 모르느냐!"하며 수비병의 목을 베고 성안으로 들어갔다.

그 말을 들은 조조, '과연 내 아들이구나'하며 조식을 크게 칭찬했다. 그게 바로 조조가 원하는 답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 후에 조식의 스승 양수가 그렇게 하라고 귀띔을 해준 것임을 알고는 이맛살을 찌푸렸다.

양수는 조조의 갑작스런 물음에 대비하여 조식에게 '답교(答敎)'라는 책을 만들어 주었다. 조조의 속을 훤히 들여다보고 예상문제집을 만들어 답까지 가르쳐준 것이었다.

그러나 왕자들의 권력다툼에 관여, 한쪽 편을 드는 것은 참으로 위험천만한 행동이다. 양수의 지나친 총명에 대한 경계심에다, 세자 문제에 대한 신중치 못한 관여가 급기야 조조의 노여움을 사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었을지도 모른다.

양수는 금도(襟度)를 지키지 않고 계속 조조의 속을 뒤집어놓는 행동을 서슴지 않았다. 그것이 천재들의 자기방기(自己放棄) 속성 때문이라 하더라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지혜를 뽐낸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할 것이다. 안다고 어찌 다 말할 수 있으랴.

드디어 운명의 날이 다가왔다. 한중의 사곡에서 유비와 격전을 치르고 있던 조조, 패전을 거듭하여 심란했다. 앞으로 나아가자니 사기충천한 촉군의 기세가 두렵고, 물러나자니 천하의 웃음거리가 될 것 같았다.

그날, 조조가 저녁상에 오른 삶은 닭을 먹고 있을 때, 하후돈이 들어와 군호(軍號)를 물었다. 조조는 그때 마침 닭의 갈비를 뜯고 있었기 때문에 무심코 '계륵(鷄肋)!'하고 말했다.

사령부로 돌아온 하후돈이 여러 장수들에게 그날 밤의 군호를 하달했지만, 그 자신은 물론 어느 누구도 그 군호의 의미까지는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러나 군호를 들은 양수는 바로 그 뜻을 알아차리고 자신의 부하들에게 철수 준비를 시켰다. 이를 전해들은 하후돈이 양수를 군막으로 불러 '왜 부하들에게 짐을 싸라고 했느냐?'고 물었다. 양수가 대답했다.

"계륵, 즉 닭의 갈비란 먹자니 먹을 것이 없고 버리자니 아까운 것인데, 지금의 이 싸움이 그렇습니다. 이길 가능성도 없고 물러서기도 그렇고. 더 있어봤자 별로 이로울 게 없으니 아마 곧 철수명령이 떨어질 것입니다"

조조의 심중을 그대로 꿰뚫은 해석이었다. 조조로서는 유비한테 쫓겨서 철수하는 것이 마음에 걸려서 그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후돈은 양수의 말을 듣고 그 혜안에 감복하며 휘하 장병들에게 철수준비를 시켰다.

군사들이 짐을 싸고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조조, 양수의 해석 때문임을 알게 되자 그간의 양수에 대한 울분(?)을 한꺼번에 토해내듯 격노했다.

"건방진 놈, 그런 뜻으로 계륵이라고 한 것이 아니다. 군율을 문란케 한 양수의 목을 베어 효시(梟示)하라!"

아, 34년의 짧은 연륜 동안 온통 재지(才智)로 점철된 생을 살아온 천재 양수, 대기(大器)로 뻗어나지 못하고 찬바람 부는 진문(陣門)의 기둥에 그의 머리가 걸리고 말았다. <다음주에 계속>


최용현
밀양 출신
건국대 행정학과 졸업
수필가, 한국문인협회 회원
사단법인 전력전자학회 사무국장
저서
'강남역엔 부나비가 많다', '꿈꾸는 개똥벌레'
'삼국지 인물 108인전', '영화, 에세이를 만나다' 외 다수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405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