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국가보훈처에서는 매년 6월을 호국보훈의 달로 지정하여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국민들의 호국·보훈 및 애국정신을 함양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로 본다면 護國은 나라를 지키고 보호한다는 뜻이며, 報勳은 공훈에 보답한다는 의미라는 걸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호국보훈의 사전적 의미를 논하자는 것이 아니라 과연 우리나라는 호국한 사람들에게 얼마나 합당한 보훈을 하고 있는지 되돌아 보자는 의미에서 단어의 뜻을 되새겨 보았다.


지난 6월 29일 조선일보의 한 면을 장식한 기사가 있었다. “세월호 리본은 있는데 제2연평해전 용사들을 기리는 것은 왜 없죠?”라는 제목하에 ‘故 한상국 상사의 아내 김한나 씨가 연평해전 스티커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는 기사였다. 故 한상사의 부인 김 씨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잃은 분들을 돌보지 않는 나라에서 살 수 없다”는 말을 남기고 2005년 미국으로 출국하였다가 3년뒤 돌아 왔다고 한다. 2002년 6월 29일 우리 해군 357정 참수리호는 북한군 30여 명을 사살하고 NLL을 지켰지만 장병 6명이 전사하고 참수리호도 침몰하고 말았다. 당시 한 상사는 357정 조타장이었으며, “배가 침몰하는 순간까지 조타실을 떠나지 않았다”고 생존자들이 증언했다고 신문기사는 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순국하신 분들을 전사로 처리하지 않고, ‘공무중 사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2004년 관련법이 개정되었지만 당시 법은 그들을 구분하지 않고 순국으로 처리하였다고 한다), 영결식에는 당시 대통령은커녕 정부 고위관계자도 참석하지 않았다는 것이 기사의 주요 내용이다. 호국과 보훈의 의미를 되새겨볼 의미있는 기사였다.


필자가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에서 정효현 교수님의 지도를 받을 때 몽골제국의 세계정복에 대해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징기스칸이 전쟁에 나서는 장군들에게 ‘나가서 싸워 이겨 영토를 확장한다면 그에 대한 보상이 있을 것이며, 만약 죽더라도 장군의 자식들은 왕실에서 왕자처럼 키워주겠다’라며 전쟁을 독려했다고 한다. 보훈이 뒷받침 되지 않는 호국은 공염불에 불과할 것이다.


몇년전 친일파 송병준의 후손들이 부천 산곡동 미군부대 부지를 돌려받으려 소송을 진행중이라는 기사가 있었다. 조상의 매국 대가로 호의호식하겠다는 발상이다. 반면 1932년 4월 29일 훙커우(虹口) 공원에서 열린 일본 천황의 생일을 기념하는 天長節 축하식장에 폭탄을 던져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대장을 죽이고 기타 요인에게 부상을 입힌 뒤 일본 경찰에게 붙잡혀 오사카에서 순국하신 윤봉길 의사의 자손은 2남1녀를 두었지만 현 독립기념관장 윤주경 씨의 부친인 윤종 씨만 57세까지 살았고, 나머지 형제들은 모두 열 살도 채 되기 전에 병으로 죽었다고 한다. 일제치하의 고충이 어떠하였는가는 말하지 않아도 잘 알 것이다.


지면상 사례를 많이 들지는 못했으나 호국영령과 순국선열을 손꼽자면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많을 것이다. 그분들의 호국에 우리는 무엇으로 보답하고 있는지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보훈이 없는 호국은 속빈 강정이요, 우리 동료나 후배들에게 무엇으로 호국을 요구할 수 있을까. 조선일보의 말미 기사를 결론으로 활용하면서 이 칼럼을 마무리 지으려 한다. ‘6월 29일 경기 평택 해군 2함대 사령부에서 열리는 제2연평해전 15주년 기념식에는 숨진 6용사 유가족과 참전 장병, 해군 관계자 등 350여명이 참석한다. 자유한국당·바른정당 의원 각각 3명을 제외하면 참석의사를 밝힌 정·관계 주요 인사는 없다.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보통일연구회 수석연구위원 성백선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870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