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내외뉴스통신] 최근 대전지역 문화예술계 화두는 교육청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교로 찾아가는 예술무대’ 사업이다. 교육청은 이 사업에서 회당 최대 150만원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 비용으로는 학생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최소한의 경험을 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교육청이 “정당한 대가 없이 열정만을 요구한다”는 불만이 문화예술계에서 나오고 있다.

시 교육청 등에 따르면, ‘학교로 찾아가는 예술무대’ 사업은 2018년 30개교에서 2019년 60개교로 대상이 확대되고 MOU를 맺은 전문예술단체도 6곳에서 10곳으로 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공연을 하게 되면 ‘지원금은 최대 150만원으로 고정하고 그 수요인원 50~600명으로 고려한 음향·무대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공연 콘텐츠는 해설과 체험이 어우러진 40~60분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준비해야 한다.

공공성을 띤 사업에서 공연료로 150만원을 지급하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지만, 그 수요인원 대비 음향, 무대 장치를 설치하고 최대 60분의 해설 체험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 금액을 가지고 공연할 단체가 과연 있을지 의문이다. 설령 위 사업을 진행하는 전문단체가 있다 하더라고 그 단체의 역량과 예술성을 보여줄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백번 양보해서 공연을 ‘예술 기부’로 인식하고 교육청에서 지원해주는 항목은 장치비 정도 지원해주는 것이라고 해도 이해가 쉽지 않다. 전문예술단체가 공연할만한 음향·무대 장치료만 하더라도 150만원은 터무니없는 금액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화예술분야 단가조사 연구’에 의하면 공연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건비와 제작비가 필요하다. 세부적으로는 출연비, 기획비, 대여비, 진행비 등 다양한 항목과 요소에 비용이 필요하다. 공연을 단발성으로 기획하고 선보이게 된다면, 큰 비용이 소비된다.

그럼에도 예술단체들이 참여하는 이유는 지역 공연시장의 수요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제시된 비용이 적기 때문에 최소한의 인력, 장비만을 가지고 공연을 선보이던지, 아니면 단체가 추구하는 성격과는 사뭇 다른 공연을 소개할 수밖에 없는 선택에 기로에 맞닿게 된다. 공연의 질은 떨어지고 공연을 향유하는 관람객들에게도 만족도가 형편없이 낮아지게 된다. 결국 공연소비를 막는 저해요인이 되고 이는 공연시장의 공연단가의 하락을 야기한다. 악순환의 연속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은 무엇일까?

우선, 관람객을 공연장에 방문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대부분의 예술단체는 초기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공연장에 무대를 만들고 일정 기간 관객들에게 공연을 선보인다. 그렇게 되면 지출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누적되는 비용 대비 공연을 관람하는 유료관객의 수가 많아져 지출 대비 수익이 늘어나 비용을 보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대로 된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학교로 ‘찾아가는 공연’보다는 학교에서 공연장으로 ‘찾아가는 공연’ 관람이 바람직하다.

아쉽게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추진하던 ‘사랑티켓’ 제도가 2017년부터 사라졌다. 저소득, 아동·청소년 등에게 공연·전시 관람료 일부를 지원해줬던 제도였다.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학교로 찾아가는 예술무대’를 공연·전시장에 직접 찾아가는 학생들에게 관람료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제안해 본다.

문화예술을 공연장에 가서 체험하고 경험하여 그 문화를 체득하는 것도 문화를 향유하게 될 미래의 청소년들에게 알려줄 수 있는 소중한 문화예술교육의 한 방안이 될 것이다.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133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