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 등 인근 3개 마을 주민들 국민권익위에 집단민원 제기, 8차례 이상 관계기관 협의
문화재 보존, 철도안전, 마을주민 교통 환경 개선 기대

28일 노근리 평화공원에서 이정희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현장 조정회의 모습
▲28일 노근리 평화공원에서 이정희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현장 조정회의 모습 (사진=영동군)
조정안 합의 후 기념촬영 (사진=영동군)
▲합의 후 기념촬영 (사진=영동군)

[영동=내외뉴스통신] 손근덕 기자

국민권익위원회는 28일 노근리 평화공원에서 노근리 ‘쌍굴다리’를 통과하는 도로확장 등 교통환경을 개선해 달라는 노근리와 인근 마을주민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이정희 부위원장 주재로 현장 조정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국민권익위는 근대 문화재이자 철도시설인 노근리 '쌍굴다리'를 보존하면서도 교통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대체 입체교차로'를 설치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져 마을주민 1,403명의 집단민원을 해결했다.

1930년 설치된 노근리 ‘쌍굴다리’는 위로는 경부선 철도가, 아래로는 1차선 도로와 하천이 지나가며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된 군도가 지나간다.

최근 '쌍굴다리' 아래로 교통량이 급증하고 대형차량의 통행이 빈번해 '쌍굴다리' 아래 도로의 선형이 굴곡지고 협소해 우기 때 하천 범람으로 교통위험이 커 주민들이 교통 불편을 호소해왔다.

영동군은 '쌍굴다리'와 연결되는 군도를 2차선으로 확장하는 공사를 시행하다가 '쌍굴다리' 보존 문제로 현재는 중단됐다.

이에 영동군과 국가철도공단이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쌍굴다리 도로 2차선 구조물 개선, 인근 통로박스를 확장해 우회도로를 설치하는 등 여러 방안을 찾았다.

하지만 진척이 없자 영동군 노근리 등 인근 3개 마을 주민들은 올해 2월 국민권익위에 집단민원을 제기했다.

국민권익위는 조사를 거쳐 ‘쌍굴다리’가 설치된 지 90년이 지났는데도 문화재 훼손 우려 문제로 현재까지 보수보강 작업이 어려웠음을 확인했다.

이에 8차례 이상의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문화재 보존, 철도안전, 마을주민 교통 환경 개선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조정안을 마련했다.

노근리 쌍굴다리 대체입체교차로 개설 안 (제공=국민권익위원회)
▲노근리 '쌍굴다리' 대체 입체교차로 개설 안 (제공=국민권익위원회)'

조정안에는 ▲영동군과 국가철도공단 노근리 '쌍굴다리' 문화재 보존 등을 위해 ‘쌍굴다리’를 대신할 ‘대체 철도입체교차로’ 신설 ▲비용 분담비율은 올해까지 양자가 협의해 결정 ▲영동군은 그 밖의 군도 5호선과 24호선을 연결하는 도로개설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보호와 안전 확보를 위해 매년 '쌍굴다리' 보존 및 보수·보강 보조금 예산 지원 ▲영동군충청북도는 문화재 보존을 위한 보조금의 비율 조정 가능 ▲'쌍굴다리' 보수·보강 추진 시 국가철도공단 및 유족 대표와 협의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노근리 '쌍굴다리'는 6.25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25∼29일, 미군부대가 민간인을 폭격과 기관총으로 학살한 사건이 벌어진 현장이며 근대 문화재로 등록돼 있다.

또한 '쌍굴다리' 바로 옆에는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노근리 평화공원’이 있다. 지난 2019년에는 방문객이 16만 명이 넘을 정도로 지역의 명소가 됐다.

이정희 국민권익위 부위원장은 “이번 조정회의는 관계기관들의 협조를 바탕으로 '쌍굴다리' 보존 및 개발과 철도시설로서의 안전 문제까지 한꺼번에 풀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노근리 쌍굴다리 근경
▲노근리 '쌍굴다리' 근경

한편 영동군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노근리 '쌍굴다리'의 보존과 주민들의 편의 증진을 위해 수시로 유족회, 마을주민회와 소통하며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모색해왔다.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시설본부·충청본부 등을 찾아 지속적인 협의와 사업의 필요성 피력을 통해 입체교차로 설치를 위한 발판과 공감대를 마련했다.

군은 조정회의 후에도 체계적인 국비 확보활동을 벌이며 주민 안전과 편의증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사업에 꼼꼼한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

조정회의에서 이호 부군수는 “노근리 '쌍굴다리' 대체 입체교차로가 조속한 시일 내에 개설될 수 있도록 하고 추모와 인권, 평화가 함께하는 상징적 장소인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news5553@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745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