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 3대 아젠다 제시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했다(사진=김승이 기자)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했다(사진=김승이 기자)

[목포·신안=내외뉴스통신] 김승이·장천석 기자 =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공식 출범해 지역사회에 큰 파장을 몰고 오고 있다.

신안 목포 주민연대(회장 윤현수, 이하 주민연대)는 22일 오후 2시 목포 해관1897에서 출범식을 갖고 공식활동에 돌입했다.

이날 행사에는 손혜원 전 국회의원, 이수찬 호남향우회 상임부회장, 고석규 전) 목포대 총장, 최송춘 목포환경운동연합 상임대표, 곽재구 목포 민주화 계승사업회 이사장, 박현숙 목포 시민주권 행동 상임대표, 정정재 가거도 방파제 비리의혹사건 공익제보자, 윤용진 전남조선노조 하청지회, 송선우 목포시의회 관광경제위원장, 박용준 시의원을 비롯해 주민연대 회원과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참석자들은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 3대 아젠다 의제를 놓고 의견을 나누며, 주민연대의 출범이 지역 발전의 새로운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했다(사진=장천석 기자)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했다(사진=장천석 기자)

최근 신안·목포 지역에서는 “지역정치가 시대정신과 괴리되어 오염되고 있다”라는 여론과 함께 “지방 권력에 대한 감시·견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 시민사회단체가 부재하다”라는 문제의식이 역시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방 권력이 시민의 삶과 직접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목소리가 정치 과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범한 신안 목포 주민연대는 지역민의 요구를 직접 담아내고, 지역 정치권을 향해 할 말을 하는 실질적 시민사회 주체로 자리 잡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주민연대는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사회적 약자의 권리 보호와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감시·제안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지역사회에서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의 출범이 새로운 중심의 시민사회단체 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는 기대 섞인 평가도 나오고 있다.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한 가운데 윤현수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있다(사진=김승이 기자)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한 가운데 윤현수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있다(사진=김승이 기자)

이번 출범식은 기존 시민단체 행사와 달리 1부에서는 창립 선언과 인사말 등 공식 절차를 진행하고, 2부에서는 주민들이 직접 지역 현안을 묻고 토론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주민연대는 이날 출범과 함께 공명선거 운동, 무안반도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이라는 세 가지 핵심 아젠다를 제시하며 지역 정치의 변화를 요구했다.

특히, 다가오는 제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주민연대가 제시한 아젠다는 지역사회에 작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주민연대는 이날 지역사회에 드리는 제안으로 “첫째, 우리 지역에서는 선거철이 되면 극단적인 진영대립과 또한 파벌 간 쟁투의 배후에는 소위 논공행상과 공신 책봉을 노리는 전문적인 선거 브로커와 각종 이권 집단들의 협잡과 이합집산이 도사리고 있다. 당파와 이념 등을 떠나서 민주정치 지방자치의 기본인 금권 부정선거 추방과 공명선거확립을 위해서 공명 청정선거 운동을 제안했다.

둘째, 지난 30년 동안 무안반도통합 운동이 답보한 중대한 이유 중 하나는 그 추진 주체와 참여방식에 문제가 있었다. 유력 정치인이나 단체장 및 행정 당국이나 명망가들이 주도하는 통합은 한계가 있다. 통합이 주민들의 먹고사는 문제와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 및 복지 행정서비스를 심화 확대할 수 있는 마스터키라는 신뢰를 주어야 하는데, 아쉽게도 지금까지 통합시도는 정략적으로 추진됐거나 관념적인 구호에 그친 면이 크다. 그리고 우리 지역사회는 이미 정체와 쇠퇴의 임계점을 넘어서고 있어서 각자도생 노선으로는 임박한 지역소멸을 피할 수 없기에 무안의 대지와 신안의 신재생에너지, 목포의 항만과 도시 인프라가 결합해서 인구·경제적 역할분담을 한다면 비로소 공생공존의 길이 열릴 것이다. 이재명 정부의 지방자치 시대 국가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당사자 주도형 신(新) 통합운동에 착수하자고 호소했다.

셋째. 서해바다의 독도, 호남의 관문인 가거도 슈퍼방파제 사업은 국비 3400억을 쏟아붓고도 침하와 유실 등, 공사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실공사를 둘러싼 정경유착 비리 의혹이 제기되어왔고, 이에 대한 해경의 수사가 외압과 담당 수사관 좌천 및 지휘부의 직권남용 의혹 속에서 급하게 무혐의처리 되는 등,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 사건은 이미 국정감사와 중앙언론에서 다뤄졌지만 정작 우리 지역에서는 제대로 거론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제는 지역 시민사회가 진상규명과 의혹 해소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서자고 호소했다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한 가운데 출범식장 앞에 세워진 피켓 모습(사진=장천석 기자)
▲공명선거, 무안반도 통합, 가거도 방파제 부실공사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신안 목포 주민연대가 22일 목포서 공식 출범한 가운데 출범식장 앞에 세워진 피켓 모습(사진=장천석 기자)

신안 목포 주민연대는 앞으로 지역 정치 감시와 평가 활동을 강화하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공개 토론회와 정책 간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명선거 분위기 조성을 위한 캠페인, 부당한 권력 행사나 비리 의혹에 대한 감시 활동도 적극적으로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주민연대는 지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적 시민참여 모델을 구축해, 지역 민주주의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윤현수 회장은 출범식 이후 본지[내외뉴스 통신]와의 인터뷰에서 “목포, 신안 정치에서 주민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깊은 불신이 지역민들 사이에 존재해왔다”라며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지역 정치의 주권은 시, 군민에게 있다. 주민이 정치의 주인이 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신안 목포 주민연대를 출범했다”라며 “앞으로 더 많은 주민이 직접 참여해 지역 민주주의를 높여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겠다”라고 말했다.

신안 목포 주민연대는 앞으로 지역 정치 감시와 평가 활동을 강화하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공개 토론회와 정책 간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명선거 분위기 조성을 위한 캠페인, 부당한 권력 행사나 비리 의혹에 대한 감시 활동도 적극적으로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주민연대는 지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적 시민참여 모델을 구축해, 지역 민주주의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안 목포 주민연대는 앞으로 흔들리지 않고 행동하면서도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고 숙의하겠으며, 주민자치 권력이 실현되는 청정한 지역사회를 위한 견실한 말단 소총수가 될 것을 약속했다.

ksei0000@hanmail.net

내외뉴스통신, NBNNEWS

기사 URL :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2294

■ 기사 제보하기

▶카카오톡 'NBN제보-1:1' 검색, 오픈 채널추가

▶전화: 02-786-5680

▶이메일: nbnnews2@daum.net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